본문 바로가기

보석관련19

다이아몬드와 유사석의 감별방법(2) 다이아몬드는 지구상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이며 결혼 예물로도 쓰인다. 하지만 높은 가격만큼이나 가짜도 많아 주의해야 한다. 정밀 감정서가 있더라도 100% 신뢰해서는 안된다. 국내에서는 우신보석감정원, 한미보석감정원, 현대보석감정원 그리고 미국 GIA 등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도 종종 실수를 범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신중함이 요구되는 보석이기도 하다. 6. 열전도성 감별에 이용되는 다이아몬드의 또 다른 특성은 다이아몬드의 매우 높은 열 전도성으로서 이 성질 때문에 수많은 다이아몬드가 여러분야 전자산업에 이용되는 것이다. 다이아몬드 유사석은 비교적 열 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1980년에 유사석과 다이아몬드를 구별하기 위하여 특수한 열 측정기인 다이아몬드 테스터가 개발되었다. 이 기구는 실온에서 보석의.. 2022. 12. 27.
다이아몬드와 유사석의 감별 방법(1) 1. 확대경과 누광법에 의한 검사 다이아몬드 전문가는 핸드 렌즈(루페)만을 사용하여 다이아몬드의 특징적인 휘광성, 표면광택, 파이어 및 경도를 관찰함으로써 다이아몬드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이아몬드는 단굴적 보석이며, 일부 유사석은 복굴절 보석(즉, 무색수정, 토파즈,사파이어, 지르콘 및 합성 루틸)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면 루페를 사용하여 보석을 검사할 때 하부 능선의 이중상이 보일 경우 검사중인 보석은 다이아몬드일 수가 없다. 다이아몬드가 나타내는 라이프와 파이어는 매우 특정적인 것으로 다이아몬드를 규칙적으로 다루는 사람은 곧 이것을 인식하는데, 큐빅 지르코니아는 이 점에서 다이아몬드와 매우 유사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반대로 유사석인 스트론튬 티타네이트의 분산도와 파이어는 다이아몬드의 .. 2022. 12. 26.
보석 물질의 생성은? -. 과학을 생물학, 화학, 지질학 및 물리학과 같이 여러 학문으로 분리해 놓은 것은 학문의 연구와 교육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 사실 이러한 학문의 구분은 그 자체가 너무나 광범위하기 때문에 많은 과목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문을 명백히 구분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또 어떤 부분은 다소 중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문의 어느 한 과목을 효과적으로 배우기 위해서는 연관된 과학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 보석학도 예외가 아니며 보석에 대한 지질학적, 광물학적 기본지식이 필요하다. 1. 지구의 구조 지각, 맨틀, 핵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지각 우리가 살고 있는 대륙의 지각은 그 두께가 25km에서 70km이며 바다 밑의 지각은 평균 두께6km이다. 지각의.. 2022. 12. 25.
보석_자외선 형광반응 검사 1. 자외선을 이용한 보석감별 -. 보석에 자외선 파장을 비추면 나타내는 반응색이 다양하고 동일한 반응색을 나타내더라도 그 강약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자외선반응의 관찰은 그 보석을 감별하는 중요한 감별수단이 된다. (자외선 장파LW 365mm, 단파SW 254mm) -. 자외선 반응검사는 장파/단파 반응을 각각 검사하고 그 반응색도 각각 기록하면 된다. 1)먼저 보석에 붙어 있는 이물질(먼지, 지문)을 '젬클로스'로 깨끗이 닦은 후 자외선기를 열고 보석을 눈에 보일 수 있는 가장 깊숙한 곳까지 넣는다. -. 이 때 자외선의 장파/단파 스위치는 모두 꺼져 있는 상태여야 한다. -. 자외선 파장을 눈으로 관찰하는 것은 위험하다. 2)자외선기의 뚜껑을 닫고 장파/단파 스위치를 번갈아 켠 후 각각의 파장에서 .. 2022.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