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석관련19

다이아몬드의 컬러등급은 어떻게 결정될까? 1. 컬러등급 결정방법 컬러 그레이딩은 마스터스톤과 시험석을 비교 관찰한 후, 결정한다. -. 실제로 다이아몬드 감정 시 마스터스톤은 풀세트로 D~M가지의 10개를 준비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국가자격시험에서는 E,G,I,K 컬러의 4개의 마스터스톤을 사용하며, 등급은 D~M컬러(10등급) 사이에서 결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실무에서도 똑같이 4개의 마스터스톤을 사용하고 등급은 D~M컬러 사이에서 결정한다. 2. 컬러등급 결정과정 1)컬러를 보기전에 먼저 시험석을 젬클로스를 이용하여 깨끗이 닦는다. -. 컬러를 보기위해 다이아몬드를 닦을 때는 알콜 또는 물티슈를 사용하면 안된다. 다이아몬드의 표면에 수막이 생겨 정확한 컬러를 볼 수 없다. -. 컬러 비교 전 미리 루페나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험석의 중량과 내.. 2022. 12. 19.
다이아몬드 플로팅(Plotting)하는 방법 1. 준비 작업 1)다이아몬드를 젬클로스(Gem-Cloth)로 깨끗이 닦는다. 2)10배하에서 다이아몬드를 모든 부분에서 돌려가면서 검사한다. 3)클래러티 등급은 보통 크라운에서 인클루전이 어느정도 보이는 지에 의해 결정된다. 4)클래러티 등급 결정요소 5가지 항목을 고려하여 등급을 결정한다. 5)다이아몬드의 내,외부특징을 작도하고 사용기호의 일람표를 작성한다. 2. 플로팅(Plotting) 원칙 -. 관찰된 내,외부특징을 다이아그램위에 정해진 기호대로 작도한다. -. 자신이 관찰한 클래러티를 다이아그램상에 각 내포물의 위치와 크기에 맞게 정확하게 플로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작도한 다이아몬드는 자신이 관찰한 다이아몬드의 참고 수단일 뿐이며, 작도한 다이어그램을 기준으로 클래러티 등급결정을 하는 것은.. 2022. 12. 18.
보석의 굴절률은 어떻게 측정할까? 1. 보석의 굴절률 _ 평면법 1)굴절계에 편광렌즈를 올려놓은 뒤, 굴절계 뚜껑을 열고 접촉액(굴절액)을 프리즘위에 직경 약1m/m 크기로 묻힌다. -. 접촉액을 바르는 부분이 유리봉으로 되어 있으면 프리즘위에 직접 묻히지 말고 사각금속판에 접촉액을 묻혀야 한다. -. 바르는 접촉액의 양에 주의해야 한다. 2)보석을 깨끗이 닦고 보석의 평평한 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금속판 위에 올려놓은 후, 프리즘 방향으로 보석을 슬라이딩 시키듯이 올려놓는다. -. 프리즘의 경도가 약하기 때문에 굴절률 측정 시 트위저를 사용하면 안된다. -. 이 때 보석은 프리즘에 비스듬하게 놓지 말고 항상 일직선으로 놓아야 보석을 45도씩 돌리면서 측정할 수 있다. 3)굴절계 뚜껑을 닫은 후, 눈을 편광렌즈에 가까이 대고 명암의 경계선.. 2022. 12. 17.
보석의 비중은 어떻게 측정할까? 1. 비중이란? 밀도(Density)와 비중(Specific gravity) 어떤 물질의 단위 체적당 질량을 말한다. 밀도는 질량/부피 (단위는 g/cm3)이다. 밀도를 알기 위해서는 질량과 부피를 측정해야 하나 부피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직접 부피를 재지 않고 물의 밀도를 이용, 비교하여 상대적인 밀도 값을 구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어떤 물질의 물에 대한 상대밀도를 비중(SG)이라고 한다. 비중은 4도C 표준대기압 하에서, 어떤 물질의 밀도와 표준 물질의 밀도와의 비를 의미한다. 비중은 같은 단위를 갖는 밀도 사이의 비이기 때문에 단위가 없습니다. 어떤 물질의 질량 대 부피 개념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밀도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옳고 비중은 어떤 물질이 물에 뜨거나 가라앉는지를 판단할 때 .. 2022. 12. 16.